하는 일/실천 이야기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20. 4. 2. 17:45
*국내 코로나 발생 전, 작년 연말에 진행된 활동입니다. (글쓴이 : 김민지 사회복지사) 2019 방화동 놀이공작소 기획단의 마지막 활동 준비 (2019년 11월 기준) 하반기 수료식&감사공연 전 마지막 준비시간입니다. 기획단 활동의 마지막 준비시간이기도 합니다. 이를 아는지 기획단원들 준비에 여념 없습니다. 준비했던 사회 대본과 감사노래를 다시 보완합니다. 이정, 윤이가 만든 감사노래 보완했습니다. 감사노래를 들은 다나가 생각을 보탭니다. “십년이 가도 모두 사랑해 부분에 고마워가 들어가면 좋겠어요.” 감사송에 감사 표현이 빠져있었습니다. 예리한 다나 도움으로 완성도가 높아졌습니다. 이정이 지은 오행시에도 생각을 보탭니다. “소원보다는 ‘소소한 부탁도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때? 위에 ‘작은 도움이 ..
하는 일/실천 이야기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20. 4. 1. 17:45
*국내 코로나 발생 전, 작년 연말에 진행된 활동입니다. (글쓴이 : 김민지 사회복지사) 수료식&감사공연 발표 준비하기 (2019년 11월 기준) “내일은 어떤 활동해요? 선생님?” 정우에게는 습관이 하나 생겼습니다. 기획단 대표가 된 이후 매주, 기획단 모임 전날 혹은 모임 시간 전, 사무실에 들러 이번 주에 기획단이 할 역할을 논의하고 갑니다. 잘 구상되지 않으면 어떤 것을 하면 좋을지 물어보고 갑니다. 기획단의 마지막 활동 수료식&감사공연이 이웃들, 가족들에게 응원받으며 잘 이루어지길 바랐습니다. 아이들이 즐겁게 활동한 일 년을 가족, 이웃에게 자랑스럽게 발표하길 바랐습니다. 사회와 활동발표 준비하기로 합니다. 윤이, 이정은 수료식&감사공연을 잘 진행할 수 있도록 사회 대본 작성했습니다. 수료식이 ..
하는 일/실천 이야기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20. 3. 31. 17:45
*국내 코로나 발생 전, 작년 연말에 진행된 활동입니다. (글쓴이 : 김민지 사회복지사) 승부를 인정해! 민달팽이 놀이 (2019년 11월 기준) 수료식 준비만 하지 않습니다. 기획단과 하루 30분은 꼭 놀기로 약속되어 있습니다. 교통공원에 나가 놀기도 하지만 열띤 활동 준비로 시간이 지체된 날은 10분, 15분만 놀게 되어 기획단원들에겐 무얼 하고 놀지가 늘 중요한 이야깃거리입니다. 골목놀이터에서 배운 전래놀이, 민달팽이 놀이가 생각났습니다. 기획단원들에게 이 놀이를 알려주자며 손혜진 선생님이 나섰습니다. 분필로 보도블록 위에 동그라미 두 개를 슥 슥. 두 조로 나뉘어 동그라미 안에 서고 한 명씩 달려 나와 가위바위보를 겨룹니다. 가위바위보에서 이겨야 상대편으로 뛰어갈 수 있고 먼저 뛰어와 상대 땅을 ..
하는 일/실천 이야기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20. 3. 30. 17:47
*국내 코로나 발생 전, 작년 연말에 진행된 활동입니다. (글쓴이 : 김민지 사회복지사) 감사노래 만들기 (2019년 11월 기준) 본격적으로 감사노래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지난 모임에서 이야기 나왔던 대로 기존에 있는 노래에 개사하여 부르기로 했습니다. 이정이 먼저 나서서 의견을 냅니다. 어떤 노래로 만들면 좋을지 일주일 동안 고민했다고 합니다. 많은 노래를 후보로 고민했지만 가장 마음에 드는 한 가지를 골라왔습니다. “외국 노랜데요. 이게 가장 잘 맞을 것 같아요. ‘안녕 반가워요.’라는 케냐노래에요. '안녕, 반가워요. 우리 기획단~' 이렇게요!” 케냐노래 '안녕 반가워요.'를 기획단의 환영 인사 노래로 뚝딱 개사했습니다. 감사공연&수료식 날 초대한 가족들, 이웃들 맞이할 때 부르면 좋겠습니다. 지..
하는 일/실천 이야기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19. 9. 20. 18:05
사회복지사무소 ‘구슬’에서 김세진 선생님이 진행하는 ‘복지관 새내기 사회복지사 실무 연수’에 다녀왔습니다. 새내기 연수는 2년에 한 번씩 진행되는 귀한 기회입니다. 복지관에 입사한지 3년이 채 되지 않은 새내기들이 모여 뜻있게 복지관에서 사회사업 실천하는 방법을 공부합니다. 선생님들 잘 다녀오세요!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에서도 원종배 사회복지사, 정한별 사회복지사, 김민지 사회복지사가 참여하였습니다. 연수 잘 다녀오라고 김상진 관장님, 김은희 부장님, 김미경 과장님, 손혜진 주임님, 권민지 주임님께서 격려의 글도 써주셨습니다. ‘아! 평소에 나를 이렇게 생각해주셨구나.’ 격려의 글은 몇 번씩 읽어도 또 읽고 싶습니다. 읽을수록 힘이 나고 생각할수록 잘 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습니다. 처음에는 격려의 글을 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