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일/보도자료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23. 4. 5. 15:38
‘생명사랑 안심아파트’는 모든 주민이 서로 지켜주는 ‘자살 없는 안심 아파트’를 비전으로 주민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통해 우울증과 자살을 예방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아파트를 구현하는 사업이다. 강서구는 2021년 가양4단지아파트를 생명사랑 안심아파트 1호로 지정한 데 이어 방화11단지아파트를 2호로 지정했다. 이를 위해 지난 24일 강서구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강서주거안심종합센터, 강서경찰서 공항지구대, 방화2동주민센터,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방화11단지관리사무소 등 6개 유관기관과 함께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아파트관리신문=김선형 기자] 출처 : 아파트관리신문(http://www.aptn.co.kr) http://www.ap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
하는 일/보도자료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23. 2. 27. 11:21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이하 복지관)은 지난해 사회사업 실천과정이 담긴 ‘지역밀착형 실천사례집’ 5종을 출판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지난 2018년부터 복지관은 지역밀착형으로 조직을 개편했다. 방화2동과 공항동으로 나눠 각 지역의 주민을 만나고, 어려운 이웃은 사례관리사업으로 돕고 주민의 욕구를 파악해 여러 모임과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지역밀착형 핵심 사업을 선정하고, 이를 사례집으로 묶어 출판했다. 복지관은 “사회복지사가 사업을 수행하며 느끼고 파악한 의도와 근거와 성찰, 지역주민이 더불어 사는 따뜻하고 행복한 이야기를 담았다.”며 “사례집이 전국 복지기관과 실무자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복지관 누리집(banghwa11.or.kr)에서 만나볼 수 있다. ..
하는 일/복지관 출판도서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23. 1. 25. 10:28
★★★★★ '친구랑 동네 한바퀴' 어울려 노는 경험이 부족한 아동이 지역사회와 함께하며 주도적으로 노는 이야기 정해웅 박성빈 | 165쪽 | 푸른복지 PDF 다운로드 책 소개 아이들은 어울려 놀면서 사람관계를 배우고 세상을 배웁니다. 올해 저마다 아이들의 사람살이에 관심이 많고 아이들에게 건강하고 풍성한 생태를 만들어주고 싶은 실무자 두 명이 모였습니다. 요리, 여행을 구실로 아동 자신의 의지대로 자유롭게 놀며 또래 친구들과 규칙, 배려, 갈등, 해결 등을 겪고 성취와 실패를 경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스스로 존중하고 실패해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자존감을 얻었습니다. 스스로 잘하는 일을 발견하며 자신에 대한 믿음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놀이를 통해 주도성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그 과정을..
하는 일/복지관 출판도서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22. 1. 14. 15:06
★★★★★ '똑똑' 사회적 고립가구를 찾아 관계의 첫걸음을 잇는 실천 이야기 손혜진 권민지 권대익 원종배 정해웅 김민지 박성빈 강수민 정민영 김민경 이예지 연지은 298쪽 | 푸른복지 PDF 다운로드 책 소개 지난해 연말, 재건축을 앞둔 방배동 다세대 주택에서 발달 장애가 있는 아들을 둔 60대 여성이 고독사로 돌아가셨습니다. 2014년 우리 사회를 떠들썩 하게 했던 송파 세모녀 사건 이후 여러 정책과 복지가 확대되었지만 고독사는 여전히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복지재단에서는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사업 '잇다'를 시작했습니다.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도 이 사업을 일 년 동안 함께 했습니다. 고독사라는 커다란 사회문제를 지역사회복지관이 모두 해결할 수 없지만, 그 책임 앞에서 완전히 ..
하는 일/복지관 출판도서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2022. 1. 14. 10:46
★★★★★ '친구야 놀자' 어울려 노는 경험이 부족한 아동이 지역사회와 함께하며 주도적으로 노는 이야기 정해웅 김민지 박성빈 | 305쪽 | 푸른복지 PDF 다운로드 책 소개 아이들은 어울려 놀면서 사람관계를 배우고 세상을 배웁니다. 올해 저마다 아이들의 사람살이에 관심이 많고 아이들에게 건강하고 풍성한 생태를 만들어주고 싶은 실무자 세 명이 모였습니다. 아이들이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도록, 친구⸱가족⸱이웃과 어울려 살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어울려 노는 경험이 부족한 아동이 지역사회와 함께하며 주도적으로 놀도록 돕기로 했습니다. 같은 기획단 형태로 사업을 진행하지만 각 기획단 활동 주제는 모두 각 실무자가 하고 싶은 놀이, 배움, 여행으로 구성했습니다. 세 실무자는 그렇게 저..